주식) 코스피(KOSPI), 코스닥(KOSDAQ)이 뭐지?
살면서 한 번쯤은 들어봤을 코스피와 코스닥.
보통 사람들이 주식한다고 했을 때 거래하는 주식은 코스피, 코스닥 시장의 주식이다.
간단하게 코스피, 코스닥에 대해 알아보자!🙋♀️
코스피(KOSPI)
코스피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로 한국의 종합주가지수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유가증권시장본부에 상장된 주식들의 가격을 모두 표시한 수치이다.
즉 코스피 시장의 주식 가격(시가총액)을 점수화 한 것이다.(코스피 지수)
무엇을 기준으로 점수화 했는가?
1980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하여 시가총액을 100으로 한 뒤 비교하는 것이다.
그니까 1980년 코스피 시장의 시가총액이 100이라면 저 그래프 기준 지금 년도의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은 2876이 되었다는 뜻.
코스피 지수의 특징은 상장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기업의 자기자본이 300억 원 이상, 상장주식수 100만 주 이상, 일반주주 700명 이상 등이 있다.
이렇기에 규모가 크고 안정성이 있는 기업들이 몰려있다. (대기업, 중견기업들이 많다는 뜻)
그래서 변동성이 크지 않아 안정적인 편이다.
코스닥(KOSDAQ)
코스닥은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의 약자로 벤처 기업 중심의 미국 나스닥 시장을 본떠 만든 주식시장이다. (1996년에 만들어짐. 그래서 1996년 기준 100으로 치고 계산)
이것도 마찬가지로 코스닥에 상장된 중소 및 밴처 기업들의 주식 가격(시가총액)을 점수화 한 것이라 보면 된다.
코스닥은 코스피 상장이 까다롭기 때문에 이들만의 기업을 위한 시장을 만든 것으로 보면 된다.
코스닥은 코스피에 비해 변동성이 높아 수익을 먹을 땐 많이 먹지만 그만큼의 리스크 또한 안고 가야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만약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에 베팅하고 싶으면 ETF를 알아보면 된다.
주식) ETF 간략정리
주식) ETF 간략정리 ETF에 대해 알아보자. ETF? ETF란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이다. 코스피, 코스닥같은 특정 지수나 금, 채권, 원유와 같은 특정 자산가격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율이
dlxltletc123.tistory.com
끝
'주식 용어 간단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상한가, 하한가, 이상급등(투자경고) (0) | 2021.01.05 |
---|---|
주식)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락, 거래량 (0) | 2021.01.04 |
주식) ETF 간략정리 (0) | 2021.01.03 |
주식) 매수, 매도 뜻 (0) | 2021.01.03 |
주식대용금이란 (0) | 2020.12.27 |